[앵커]<br />'정신의학'의 영역을 넘어 문학과 영화, 미술 등 문명 전체에서 '광기'가 인류에 끼친 영향을 분석한 책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경제적 논리에 지배당하고 휘둘리면서 인간을 점점 차가운 계산기로 만들어가는 경제학의 본성을 비판한 책도 출간됐습니다.<br /><br />새로 나온 책, 박석원 앵커가 소개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■ '광기와 문명' 앤드루 스컬 / 뿌리와 이파리<br /><br />'광기', 즉 제정신이 아닌 사람들을 어떻게 규정하고, 어디에서 원인을 찾고, 어떤 방식으로 치료해 왔는지를 40년 동안 추적해온 연구서입니다.<br /><br />저자는 미셸 푸코가 중세부터 20세기까지 다룬 를 고대부터 21세기까지로 확대하면서 광기의 뿌리가 몸과 마음을 넘어, 사회와 문화 속에 있다고 분석합니다.<br /><br />광기를 바라보는 시각에서도, 푸코가 '철학'의 측면에서 광기를 탐구했다면, 스컬은 방대한 자료와 함께 '사회·문화'적 측면에서 광기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■ '사람의 부엌' 류지현 / 낮은산<br /><br />유럽에서 디자이너로 활동 중인 저자가 3년간 이탈리아와 남미, 프랑스 등의 부엌과 텃밭, 농장을 찾아가 배우고 발견한 냉장고 없이 사는 지혜를 모았습니다.<br /><br />저자는 "냉장고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리듬이 아닌 식재료의 특성과 우리 가족의 식습관을 고려한 리듬을 찾아간다면 부엌은 '냉장고의 부엌'이 아닌 '사람의 부엌'이 될 수 있다"고 말합니다.<br /><br />■ '피천득 평전' 정정호 / 시와진실<br /><br />한국 서정문학의 한 획을 그은 수필가이자 시인이자 번역가였던 피천득 선생의 타계 10주년에 맞춰나온 첫 평전입니다.<br /><br />언제나 절제된 언어로 표현된 문학세계와 '영원한 소년'처럼 살았던 선생의 삶을 통해 '피천득 다시 읽기'의 즐거움을 선사합니다.<br /><br />■ '차가운 계산기' 필립 로스코 / 열린책들<br /><br />오늘날 기업 활동은 물론, 일반인의 삶까지 지배하는 만능열쇠가 돼버린 '경제적 효율성'에 대해 꼬집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저자는 경제학이 상정하는 '경제적 인간'과 명확한 질서를 가진 '경제'라는 세계 자체가 경제학자들이 만들어낸 허구라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책은 환경과 교육, 질병은 물론 죽음과 연애, 결혼 등 생활의 내밀한 곳까지 침투해 삶을 지배하고, 도덕적 판단을 대신하는 고삐 풀린 경제학의 실상을 파헤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새로 나온 책이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6_2017050709580717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